예술, 영상, 건축분야 AI 창작 생태계 새로운 장을 열다 : 'Midjourney User Meetups : Seoul' 성황리에 개최

AI 기반 콘텐츠 창작의 발전을 도모하고 창작자 간 네트워크를 강화하기 위한 ‘Midjourney User Meetups : Seoul’ 행사가 3월 14일(금) 오후 2시부터 서울 광화문 아트코리아랩 6층 아고라에서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이번 행사는 MBC씨앤아이(대표이사 도인태) AI Contents Lab이 주최하고, 미국 AI 개발사 Midjourney와 공동으로 협력하여 마련되었으며, KADA(한국예술기획자협회)의 후원으로 진행되었다.

 

AI 창작 생태계 발전을 위한 뜻깊은 자리

이번 행사는 AI 창작자 및 관련 업계 종사자들에게 Midjourney를 활용한 창작 기법을 공유하고, AI 기반의 예술 및 콘텐츠 제작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특히, Midjourney와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AI 창작 트렌드를 공유하고, 국내 AI 창작자들이 해외 개발사와의 교류를 통해 더 넓은 협력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행사는 총 60여 명의 창작자 및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Midjourney의 기술 소개와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참가자들은 Midjourney를 활용한 AI 창작의 실질적인 활용법을 배우고, 네트워킹 시간을 통해 협업의 기회를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MBC씨앤아이 AI Contents Lab은 개인화되는 AI 창작 특성상 상호 교류에 대한 기회가 부족하고 특히 연말연초에 정부기관 등에서 행사가 어려워 지난 1월부터 밋업행사를 이어가고 있다. 1월에는 미국 Runway사와 함께 Meetups: Seoul을 처음으로 개최하고 2월 한국영상자료원의 후원으로 AI Contents Lab 제작발표회에 이어 3월 행사는 Midjourney와 협력하여 개최했다. 향후에도 생성형 AI의 테크기업들과 협력해 AI 창작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워크숍을 개최할 계획이다.

 

주요 프로그램 및 연사 소개

이날 행사는 Midjourney Researcher인 정준영 연구원의 ‘Midjourney 소개 및 데모’ 세션으로 시작되었다. 이어서 KADA(한국예술기획자협회)의 김경미 회장이 후원기관의 활동 소개와 향후 AI 창작자와의 협업 가능성에 대한 협회의 비젼을 공유했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AI 창작 전문가들이 연사로 나서 AI와 예술의 융합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를 발표했다. AI 아티스트 이윰(IUM)은 ‘Midjourney for Artist’ 세션에서 AI를 활용한 예술 창작의 방법과 사례를 공유했으며, AI 기반 영상 콘텐츠 제작자 ai_grimdal(그림달)은 ‘Midjourney for Film Making’ 세션을 통해 AI가 영상 제작 과정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설명했다. 건축 분야에서는 이영운 감독이 ‘Midjourney for Architecture’ 발표를 통해 AI 기술이 건축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을 소개하며 AI를 활용한 다양한 분야의 활용과 사례에 대한 큰 관심을 끌었다.

 

네트워킹을 통한 협업 기회 창출

행사의 마지막 세션에서는 참석자들이 자유롭게 교류할 수 있는 네트워킹 시간이 마련되었다. AI 창작에 관심 있는 아티스트, 개발자, 기획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고, 향후 협업 가능성을 논의하는 등 활발한 소통이 이루어졌다. 이번 ‘Midjourney User Meetups’ 행사는 AI 기반 창작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고, AI 기술을 활용한 예술 및 콘텐츠 제작의 미래를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로 참석자들로부터 높은 평가받았다. MBC씨앤아이 AI Contents Lab은 앞으로도 다양한 협력의 기회를 모색하며 AI 창작 생태계 발전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ai times 기사 전문 보기 : https://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8836

 

문의 : MBC씨앤아이 AI Contents Lab

이메일: mbccni3@google.com

전화: 02-789-9313

 

문의 : KADA

한국예술기획자협회KADA(Korea Art Directors Association)

이메일: kada.art2022@gmail.com